Part1. 개발환경 설치
이 글은 Spring Boot + Vue + Mysql을 이용한 간단한 CRUD를 해보는것을 목표로 작성 합니다.
학습을 목적으로 정리한 글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개발환경 : STS 4.11.0
VUE 4.5.13
Mysql
1. STS 설치
IDE는 Eclipse에 Spring Plugin이 기본 설치가 되어 있는 STS로 결정 하였습니다.
https://spring.io/tools 에 접속하여 각자 OS에 맞는 STS를 설치해줍니다.
버튼을 누르면 Jar파일이 다운로드가 됩니다.
JAR파일을 더블 클릭 하거나
CMD창에서 "JAVA -jar 파일명" 하면 압축이 해제 됩니다.
sts-4.11.0.RELEASE 폴더 안에 SpringToolSuite4.exe 파일을 실행 해보면 STS가 실행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1 JDK 설정
STS4버전 이상 부터는 OpenJDK13버전부터 실행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STS내부에 STS구동을 위한 JRE가 내장 되어 있습니다.
나는 JDK1.8을 이용하여 개발 할것이므로 JDK 설정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 Windows > Preferences > Installed JREs 에서 ADD버튼을 눌러줍니다.
2. Vue 설치
Vu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NPM(Node Package Manager)을 이용하여 설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Node.js를 설치 해야 합니다.
https://nodejs.org/ko/download/
다운로드 |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각자 OS에 맞는 버전을 설치해주세요.
다운 받은 node-v14.17.1-x64.msi 파일을 실행 해줍니다.
Next버튼을 연타하며 Default로 설치를 하였습니다.
cmd창을 열어 아래 명령어를 실행 해주자.
npm install -g @vue/cli
4.5.13버전이 설치 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vue --version
3. Spring Boot 프로잭트 생성 및 Vue 생성
3.1 Spring Boot 프로잭트 생성
Create new Spring Starter Project를 클릭해준다.
Finish 버튼을 누르면 "curd"라는 Spring Boot 프로잭트가 생성이 됩니다.
3.2 Vue 생성
CMD창에서 방금 생성한 프로잭트까지 들어와줍니다.
vue create front-end
설치가 끝나고 파랑색 명령어를 실행 합니다.
cd front-end
npm run serve
http://localhost:8080/ 에 접속 해보면 vue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STS로 돌아와서
프로잭트를 refresh해보면 front-end 폴더가 생성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3 vue Build
front-end 폴더는 vue 가 있는 폴더이고 vue에 있는 내용을
Spring - Boot에서 실행 될 수 있도록 설정을 잡아주도록 합니다.
front-end에서 파일을 하나 생성 해주겠습니다. (vue.config.js)
vue.config.js파일의 내용을 채워줍니다.
module.exports = {
outputDir: "../src/main/resources/static",
indexPath: "../static/index.html",
devServer: {
proxy: "http://localhost:8080"
},
chainWebpack: config => {
const svgRule = config.module.rule("svg");
svgRule.uses.clear();
svgRule.use("vue-svg-loader").loader("vue-svg-loader");
}
};
outputDir은 npm run build로 빌드 시 파일이 생성되는 위치
indexPath는 index.html 파일이 생성될 위치
devServer는 Back-End , 즉 Spring Boot의 내장 was의 주소입니다.
아까 npm run serve 명령어로 실행 시켰던 vue 서버를 종료 시켜 줍니다.
Ctrl + c 하면 종료가 됩니다.
npm run build
Build를 하게 되면 resorces에 static이라는 폴더가 생깁니다.
vue가 빌드 하게 되면 static에 파일이 생성 되고 Spring Boot를 Run 할때 이 파일들이 실행 되면서 화면에 뿌려지게 됩니다.
3.4 Spring Boot 내장 WAS 실행
Spring boot에 내장 되어 있는 WAS 를 실행 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잭트 오른쪽 버튼 - Run AS - 4 Spring Boot App
서버가 잘 올라 왔는지 http://localhost:8080으로 접속 해본다.
여기까지 하셨으면 STS , Spring Boot , VUE 설치가 끝났습니다.
part2에서는 Mysql DB 연동 및 간단한 Select문을 실행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